국내 임상으로 FDA 문턱 넘기? 현실은 생각보다 냉정하다

해외인증/US FDA|2025. 11. 3. 12:12
728x90
반응형

최근 의료기기 업계에서 “국내 임상자료로 FDA 인허가가 가능하다”는 주장이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일부 대형병원이나 컨설팅 업체가 ISO 14155 인증을 내세우며 “국내 임상으로 해외 통과 가능”하다는 식으로 홍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는 실제 규제 환경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FDA(미국 식품의약국)는 임상시험의 지역보다 데이터의 과학적 타당성, 피험자 특성의 대표성, 시험 환경의 동등성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즉, 단순히 “한국에서 진행된 임상시험이니 동일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약합니다. FDA는 피험자 인종, 의료환경, 사용자 행태 등 다양한 요인이 미국 시장과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민감합니다.

특히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 분야는 더욱 엄격합니다. 단순한 equivalence statement(인종적 차이 없음)만으로는 부족하며, 통계적 보정이나 bridging study(연계 연구) 설계가 함께 제출되어야 합니다. 이런 근거 없이 단순히 “국내 임상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할 경우, FDA는 보완요청 또는 재시험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ISO 14155는 임상시험의 ‘품질관리’ 기준일 뿐, ‘미국 내 승인 적합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즉, 이는 임상시험 운영 수준의 인증이지, 지역 간 임상데이터 상호인정 협약이 아닙니다. 따라서 “ISO 14155 받았으니 FDA도 인정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해석에 가깝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 임상자료를 FDA에 제출할 수는 있으나, 데이터의 동등성 입증과 추가적인 브리징 근거 없이는 실제 허가 가능성이 낮습니다. FDA 허가를 목표로 한다면, 초기에 미국 내 임상시험 설계를 병행하거나, 미국 기관과 공동 임상으로 진행하는 전략이 훨씬 현실적입니다.

 

3줄 요약
1. 국내 임상자료만으로 FDA 인허가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추가 검증이 필요합니다.
2. ISO 14155 인증은 품질 기준이지, FDA 승인 보증이 아닙니다.
3. 미국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한다면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임상 설계가 필수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FDA 임상시험, 미국만이 정답은 아닙니다

해외인증/US FDA|2025. 11. 2. 11:24
728x90
반응형

의료기기 인허가를 준비하는 많은 기업들이 “FDA가 요구하니 미국 내에서 임상시험을 해야 한다”고 단정 짓곤 합니다. 하지만 실제 규제 환경은 훨씬 유연하면서도 정교합니다.

FDA는 기본적으로 미국 내 임상시험 데이터를 가장 신뢰합니다. 그러나 이는 ‘미국 내에서만 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예: ISO 14155)에 따라 수행된 해외 임상시험이라면, 해당 데이터가 과학적 타당성과 윤리적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FDA에서도 이를 인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인정 가능성은 Pre-sub 단계에서 FDA와의 사전 협의를 통해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무조건 미국에서 해야 한다”보다는 “FDA가 인정 가능한 수준으로 설계되었는가”가 핵심입니다.

유럽의 경우도 MDR(의료기기 규제) 체계 하에서 ISO 14155에 따른 임상시험 결과를 인정하고 있으며, 인증 간 차이가 없음을 입증한다면 동일 데이터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다만, 해당 근거가 문서화되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위치(location)’가 아니라 ‘품질(quality)’입니다. FDA나 유럽 규제기관은 시험이 어디서 진행되었는지보다, 어떻게 설계되고 어떤 기준을 충족했는지를 봅니다. 따라서 초기 Pre-sub 혹은 Scientific Advice 단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불필요한 재시험이나 시간 낭비를 줄이는 것이 전략적으로 현명합니다.

 

3줄 요약
1. FDA는 미국 내 임상만 인정하지 않으며, ISO 14155 기반 해외 데이터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2. 유럽 MDR은 인증 간 차이 없음이 입증된다면 동일 임상데이터 활용이 가능합니다.
3. 관건은 ‘시험 위치’가 아니라 ‘시험 설계와 품질’, 그리고 ‘사전 협의’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MERCOSUR 협정에 따른 브라질–아르헨티나 간 의료기기 등록 절차 간소화

728x90
반응형

최근 중남미 시장 진출을 검토하는 국내 의료기기 제조사들 사이에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간 의료기기 등록 관련 협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11월부터 시행된 MERCOSUR(메르코수르, 남미공동시장) 협정의 일환으로, 양국의 규제당국인 브라질 ANVISA와 아르헨티나 ANMAT 간 협력이 강화되며 Class I 및 II 등 저위험군 의료기기의 등록 절차가 실질적으로 간소화되었습니다.

현재 해당 협정은 양국 간 자유판매증명서(Free Sale Certificate, FSC)의 상호 인정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즉, 브라질에서 등록된 Class I 또는 II 의료기기는 브라질 발급 FSC만으로 아르헨티나 등록 절차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복잡한 기술문서 제출 및 현지 시험 요건이 일부 면제되거나 축소되어, 등록 기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간소화가 모든 제품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고위험군 의료기기(Class III 이상) 및 일부 특수 품목은 여전히 개별국의 독립적인 심사 절차를 요구합니다. 또한, FSC 외에도 현지 대리인 지정, 라벨링 요건 등은 각각의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므로,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ISO 10993 시험 비용 (국내)

의료기기 (용품)/ISO 10993|2025. 10. 31. 18:03
728x90
반응형

세포독성 (ISO 10993-5)
In Vitro Cytotoxicity Test - MTT: 1,200,000원
In Vitro Cytotoxicity Test - MEM: 1,200,000원
In Vitro Cytotoxicity Test - Agar Diffusion Method: 1,200,000원

자극성 및 감작성
피내반응 (Intracutaneous Reactivity Test, ISO 10993-23): 1,700,000원
피부 자극성 (Skin Irritation Test, ISO 10993-23): 3,400,000원
구강 점막 자극성 (Oral Mucosa Irritation Test, ISO 10993-23): 6,800,000원
피부 감작성 (Skin Sensitization Test, ISO 10993-10): 8,500,000원

독성 시험
급성 전신 독성 (Acute Systemic Toxicity Test, ISO 10993-11): 1,400,000원
물질 매개 발열성 (Material Mediated Pyrogen Test, ISO 10993-11): 1,700,000원
유전독성; 복귀 돌연변이 (Ames Test, ISO 10993-3): 4,500,000원
유전독성; 염색체 이상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SO 10993-3): 8,500,000원
아급성 전신 독성 (14일, rat, ISO 10993-11): 36,000,000원
아급성 전신 독성 (28일, rat, ISO 10993-11): 29,000,000원
아급성 전신 독성 (28일, rabbit, ISO 10993-11): 38,000,000원
아만성 전신 독성 (90일, rat, ISO 10993-11): 47,000,000원
아만성 전신 독성 (90일, rabbit, ISO 10993-11): 64,000,000원
만성 전신 독성 (Chronic Systemic Toxicity, ISO 10993-11): 비용 정보 없음

이식 시험 (ISO 10993-6)
골 이식시험 (Bone Implantation Test)
1주: 5,400,000원
4주: 8,800,000원
8주: 12,800,000원
13주: 21,000,000원
26주: 32,000,000원

피하 이식시험 (Subcutaneous Implantation Test)
1주: 4,600,000원
4주: 5,600,000원
8주: 6,400,000원
13주: 9,400,000원
26주: 16,000,000원

728x90
반응형

댓글()

원료에서 혁신까지 - 체외진단의료기기의 본질을 재정의하다

728x90
반응형

체외진단(IVD) 제품의 품질은 단순히 완제품의 디자인이나 패키징에서 비롯되지 않습니다. 진정한 차별성은 ‘원재료’에 있습니다. 항원, 항체, 효소 등 핵심 원재료의 품질은 진단 시약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결정짓는 출발점이며, 이를 직접 개발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업만이 제품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일부 선도 기업들(Fapon 등)은 이러한 원재료를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개발 및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며, 진단 시약의 수직 통합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과 단일클론 항체 생산 플랫폼을 통해 고순도의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원재료 단계에서부터 품질 관리 기준을 엄격히 적용함으로써 배치 간 변동성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IVD 제조의 기술적 자립뿐만 아니라, 규제 대응 측면에서도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동일한 품질의 원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은, 제품 허가 과정에서 재현성과 일관성 검증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기업들은 감염성 질환부터 자가면역질환까지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어, 고객사들이 다양한 진단 시약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매칭 페어(Matching Pair)’—즉, 최적화된 항원-항체 조합을 검증해 제공함으로써, 고객은 직접적인 실험 과정을 줄이고 즉시 상용화 가능한 시약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구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동시에, 초기 단계부터 고성능의 분석 결과를 보장합니다.

여기에 더해, 단순한 원료 공급을 넘어 시약 개발 전반에 걸친 기술 지원과 플랫폼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화학발광(CLIA)이나 금 나노입자 기반 신속진단(Colloidal Gold) 등 다양한 분석 플랫폼에 대한 경험적 노하우는, 고객사의 개발 리스크를 낮추고 규제 승인 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합니다.

결국 이러한 접근은 ‘공급자’가 아닌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합니다. 원재료의 품질을 통제하고, 개발 전반을 지원하며, 임상적 성능과 규제 요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 기반은 체외진단 산업의 지속 가능한 혁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3줄 요약
1. 체외진단 제품의 품질은 핵심 원재료의 자체 개발 및 품질 관리에서 비롯됩니다.
2. 폭넓은 질병 영역과 검증된 매칭 페어 제공을 통해 개발 효율성과 성능을 높입니다.
3. 단순 공급을 넘어 기술·플랫폼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규제 대응력과 시장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25℃가 가장 가혹한데… 왜 의료기기 심사원은 굳이 15℃ 데이터를 요구할까?

728x90
반응형

제품의 안정성 평가에서 MKT(Mean Kinetic Temperature)에 따르면 25℃ 조건은 화학적 분해 측면에서 가장 가혹한 조건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일부 심사원은 보관 조건의 하한선인 15℃에서 실시간 안정성 데이터를 추가로 요구하기도 합니다. 이는 단순한 행정적 요구가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전 온도 범위에서 보장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규제적인 판단에 근거합니다.

25℃에서의 데이터가 화학적 분해를 충분히 설명하더라도, 저온에서는 예기치 못한 물리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분리, 결정 석출, 점도 상승, 단백질 응집과 같은 현상은 고온 가속시험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심사원은 ‘저온 안정성’을 별도로 확인하여, 제품이 실제 보관 환경의 전 구간(15~25℃)에서 동일한 품질을 유지한다는 근거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를 더 확보하라는 의미가 아니라, 브래케팅(Bracketing) 접근법에 기반한 합리적 요구입니다. 즉, 최고 온도에서는 화학적 안정성을, 최저 온도에서는 물리적 안정성을 입증함으로써 두 극단 사이 모든 온도 조건에서도 제품이 안정하다는 과학적 신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 기반 진단시약, 액상 주사제, 에멀젼 제형, 새로운 포장재를 사용하는 제품 등은 저온 영향에 민감하기 때문에 심사원 입장에서는 리스크 기반으로 15℃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따라서 제조사는 심사 대응의 일환으로 15℃ 실시간 시험을 선제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불필요한 질의응답을 줄이고, 제품의 신뢰도와 규제기관의 신뢰를 동시에 확보하는 전략적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3줄 요약
1. 25℃ 조건만으로는 저온에서의 물리적 변화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2. 심사원의 요구는 브래케팅 접근에 기반한 합리적 판단입니다.
3. 15℃ 실시간 시험을 선제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최선의 대응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의료기기 보험수가가 같다고 공정한가 - 형평의 탈을 쓴 불공정의 함정

의료기기 RA/보험|2025. 10. 28. 13:30
728x90
반응형

의료기기 심사 현장에서 자주 들리는 말이 있습니다. “보험수가가 같으니 소기업이라고 봐줄 필요는 없습니다.” 얼핏 들으면 그럴듯합니다. 동일한 제품이라면 동일한 가격을 받으니, 심사 기준도 동일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이 말은 ‘공정’의 외피를 쓴 ‘비합리’의 전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험수가는 시장가격이 아니라 정부가 정한 행정가격입니다. 이는 기업의 기술력이나 규모, 투입 비용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대기업은 전문 인력과 자본을 갖추고 심사 준비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소기업은 제한된 자원 속에서 같은 수준의 행정·기술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결국 수익은 같아도 부담은 훨씬 크며, 결과적으로 구조적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심사관 입장에서는 규정의 일관성을 지키는 것이 안전한 선택입니다. 그러나 의료기기 산업은 단순한 행정 절차의 대상이 아니라, 국가 보건안보와 기술자립의 근간이 되는 산업입니다. 모든 기업에 동일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형평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현실을 외면한 행정 편의주의에 가깝습니다.

진정한 공정성은 조건이 다른 이들에게 동일한 기준을 강요하지 않는 데서 출발합니다. 소기업에게 필요한 것은 ‘특혜’가 아니라, 동일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절차적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 균형이 바로 의료기기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짓는 열쇠입니다.

3줄 요약
1. 보험수가는 행정가격일 뿐, 기업의 현실적 부담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2. 동일 기준 적용은 형평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불공정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3. 공정한 심사는 동일한 결과가 아니라, 합리적 조건의 균형에서 시작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ISO 13485면 충분할까? - 유럽 시장에서 유통업자가 놓치기 쉬운 함정

해외인증/EU MDR|2025. 10. 27. 10:42
728x90
반응형

의료기기 분야에서 “ISO 13485 인증을 받았으니 규제 대응은 끝났다”고 안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유럽연합(EU) 시장의 문턱은 그보다 훨씬 높습니다. 특히 MDR(2017/745)과 IVDR(2017/746)의 Article 16(4) 조항은 제조사가 아닌 유통업자(distributor)와 수입자(importer)에게도 독립적인 품질경영시스템(QMS) 인증을 요구합니다.

이 조항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닙니다. 이미 CE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도, 유럽 내 유통 과정에서 라벨 번역, 사용설명서 수정, 포장 변경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제품 변경 행위”로 간주됩니다. 그 결과, 유통업자나 수입자는 제조자와 동일한 수준의 품질보증 책임을 일부 지게 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Article 16(4)에 따른 QMS 인증이며, 이는 ISO 13485로 대체되지 않습니다.

많은 기업이 혼동하는 이유는 ISO 13485가 의료기기 품질시스템의 대표 표준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ISO 13485는 제조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품질보증 체계이며, 유통·수입 단계에서의 재포장·재라벨링 활동을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반면 MDR은 시판 후(post-market) 변경 관리까지 법적 책임으로 명문화합니다. 즉, 제조와 유통의 “품질관리의 초점”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실무적으로는 ISO 13485를 기반으로 QMS를 확장하고, 여기에 라벨 번역 절차, 제조사와의 정보교환 체계, 변경 이력 추적성, 재포장 환경관리 등의 절차를 추가하여 Article 16(4)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이 현실적인 접근입니다. 공인기관(Notified Body)의 별도 인증은 이러한 절차의 존재와 실행력을 공식적으로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유럽 내에서 단순히 포장을 바꾸거나 언어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규제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시장 진입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목을 잡히지 않기 위해서는, 유통 단계의 품질관리 또한 제조와 동일한 수준의 체계로 다뤄야 합니다.

 

3줄 요약
1. ISO 13485 인증만으로는 MDR Article 16(4) 요건을 충족할 수 없습니다.
2. 유럽 내 유통·수입 중 라벨 변경, 번역, 재포장은 별도의 QMS 인증 대상입니다.
3. ISO 13485 기반 QMS에 Article 16(4) 절차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실무적인 대응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ISO 10993 단순한 시험의 시대는 끝났다

의료기기 (용품)/ISO 10993|2025. 10. 26. 09:37
728x90
반응형

의료기기 산업에서 ‘생물학적 평가’라는 말은 더 이상 시험 항목의 나열이 아닙니다. 이제 생물학적 평가는 ‘시험 목록’이 아닌, ‘위험관리 과정’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습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문구 수정이 아니라, 규제 철학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ISO 10993-1은 1992년 첫 출간 이후 오랫동안 생물학적 시험의 선택 가이드로 오해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표준의 핵심은 항상 ‘위험의 식별과 평가’에 있었습니다. 문제는 그동안 그 철학이 충분히 강조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번 개정은 ISO 14971(위험관리 표준)과의 정합성을 강화함으로써, 생물학적 평가를 ‘과학적 증거 기반의 위험 판단’이라는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의료기기 독성평가는 화학적 구성 성분의 독성 자료, 노출량, 물리적 특성, 임상 데이터, 문헌 정보 등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새로운 ISO 10993-1은 이들 자료의 “증거 가치(evidential value)”를 중심으로 판단하는 접근을 권고합니다. 즉, 단순히 시험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데이터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불확실성(uncertainty)의 수준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또한 이번 개정은 ‘시험 중심적 접근(test-based approach)’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 평가(data-driven evaluation)’로의 전환을 촉진합니다. 화학적 특성 분석(ISO 10993-18)과 독성 리스크 산정(ISO 10993-17)의 과학적 연결성이 강화되었으며, in vitro 시험과 NAMs(신규 대체 방법론)의 활용도 확대됩니다. 이는 단순히 비용 절감을 위한 것이 아니라, 평가의 타당성과 과학적 정밀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결국 이 모든 변화의 목적은 명확합니다. 불필요한 시험을 줄이고, 과학적 확신이 뒷받침된 평가를 통해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입니다. 규제의 본질은 ‘시험 결과의 양’이 아니라, ‘위험 판단의 질’에 있습니다. 이번 개정은 그 방향성을 정확히 짚어내고 있습니다.

3줄 요약
1. ISO 10993-1:2025는 시험 중심에서 위험관리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끕니다.
2. 모든 자료는 “증거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되며, 불확실성 관리가 핵심입니다.
3. 새로운 표준은 불필요한 시험을 줄이면서도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의 과학적 엄밀성을 강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인실리코(In Silico) – 의료기기 규제는 언제 ‘가상의 데이터’에 신뢰를 줄 것인가

의료기기 (용품)/ISO 10993|2025. 10. 25. 09:31
728x90
반응형

의료기기 규제의 근본은 안전성과 성능 입증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인체 또는 동물 기반 실험은 비용, 시간, 그리고 윤리적 문제라는 삼중의 장벽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인실리코(In Silico)’는 컴퓨터 기반의 시뮬레이션으로 실제 임상시험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려는 시도입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안전성과 성능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이는 단순한 기술적 진보가 아니라 의료기기 평가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인실리코는 이미 미국 FDA의 ASME V&V 40(2018)을 중심으로 신뢰성 평가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FDA는 “모델의 사용 맥락(Context of Use)”을 명확히 정의하고, 모델의 위험도에 따라 검증·검증(Verification & Validation)을 단계별로 평가하는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여전히 MDR(2017/745)에 ‘컴퓨터 모델링 자료의 제출 가능성’을 언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즉, 법적 근거는 있으나 실질적 평가 프레임워크는 부재한 상태입니다. 이 격차는 의료기기 산업 내 기술 발전 속도와 규제 수용 속도의 불균형을 드러냅니다.

현재 인실리코 데이터는 EU 내에서 독립적인 ‘임상 근거’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보조적 증거로만 수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orphan device나 고위험군 환자처럼 실제 임상시험이 어려운 분야에서는 인실리코 모델이 거의 유일한 데이터 획득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제당국과 제조사는 ‘단계적 수용(Phased Acceptance)’ 접근이 필요합니다. 즉, 초기에는 전통적 임상자료와 병행하여 사용하고, 모델의 신뢰성이 충분히 입증된 후에는 단독 근거로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또한, AI 기반 인실리코 모델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모델의 투명성, 데이터 편향, 알고리즘의 검증이 새로운 규제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최근 제정된 EU AI Act(2024/1689)는 인실리코를 직접 다루지 않았지만, 향후 MDR 개정 과정에서 이 기술을 공식적으로 포섭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유럽이 미국과의 규제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결국 인실리코의 미래는 기술의 성숙도가 아니라 ‘규제의 신뢰도’에 달려 있습니다. 규제당국이 모델 신뢰성 검증의 표준화(예: ASME V&V 기반 국제 가이드라인)와 투명한 검토 절차를 제도화할 때, 비로소 인실리코는 의료기기 규제의 주류로 자리잡을 것입니다.

3줄 요약
1. 인실리코는 의료기기 평가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끄는 핵심 기술입니다.
2. 미국은 ASME V&V 40을 통해 명확한 규제 틀을 마련했으나, EU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3. 규제 신뢰성 확보와 국제 표준화가 인실리코의 본격적인 도입을 결정짓는 관건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