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문서/체외진단의료기기

전체 실험실 자동화(TLA) 시스템 구성 요소

KODAMED 2024. 2. 11. 09:23
728x90
반응형

전체 실험실 자동화(Total Laboratory Automation, TLA)는 검체 처리 과정을 자동화하여 실험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첨단 시스템입니다. 

1. TCP (Carrier Pool)
검체 이송을 위한 케리어(예: 퍽)를 보관하는 모듈입니다. 이 모듈은 검체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2. PIO (Input 모듈)
검체를 접수하고, 케리어에 로딩하여 시스템에 공급하는 첫 단계를 담당합니다. 이 모듈을 통해 검체가 시스템 내의 다음 단계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습니다.

 

3. PCC (원심 모듈)
검체를 원심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용 홀더에 로딩하고,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를 케리어에 언로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은 검체를 분석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4. PAC (원심분리기)
고속 회전을 통해 혈액 등의 분석 대상 용액을 용매와 용질로 분리시키며, 챔버 내부를 냉각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합니다. 이 기구는 분석을 위한 검체의 준비에 필수적입니다.

 

5. PDC (Decap 모듈)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의 뚜껑을 자동으로 제거합니다. 이는 검체를 다음 분석 단계로 이동하기 전 필요한 절차입니다.

 

6. PAQ (분주 모듈)
검사 항목에 따라 검체에서 일정량을 분리하여 자동으로 분주합니다. 이 모듈은 검체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정량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7. CFR (연결 모듈)
전처리가 완료된 검체를 자동 검사 장비에 연결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모듈은 시스템 내의 다양한 장비들과 검체가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보장합니다.

728x90
반응형